기초수급자 장례의 일륜적인 지원 말고 찐 장례비 혜택은?

- 기초생활수급자 장례혜택
- 기초수급자 장제급여의 기준
- 기초생활수급자 화장비용 면제
- 기초수급자 시립장례식장 안치료 감면
- 기초생활수급자 시립장제시설 감면 또는 할인
1.기초생활수급자 장례 혜택
기초생활수급자가 사망하여 장례를 치룰실때 어떠한 혜택이 존재 할까요?
대부분의 수급자 유가족 분들은 잘 알지 못한채 기초수급자 장례를 치루시고는 합니다.
그로인해 제대로된 혜택을 받지 못하시고 일반인과 같이 비싼 비용의 지출이 있는 경우가 다수 존재합니다.
각지역마다 존재하는 곳의 특성을 잘 이해하시고 이용하신다면 기초생활수급자 장례의 혜택을 빠짐 없이 모두 받으실수가 있고 그 결과는 기초수급자 장례비의 절감으로 이어집니다.
시설사용료의 감면 또는 안치실료의 면제 그리고 장제급여의 지원등 혜택에 대해 알고 대응을 하시는 것과 장례식장 혹은 상조를 통해 모르시고 따라가는 수동적인 자세로 치루신다면 결국 비용의 낭비와 절차의 손해가 따라오게 됩니다.
기초수급자 장례만을 전문으로 진행하는곳의 개입이 이루어져야 내가 나서지 않아도 빠짐 없는 혜택의 안내와 적용 될수 있으며 이는 결국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를 약100만원~300만원 정도 줄일수 있는 요건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단순히 장례식장이나 일반적인 상조를 통해서는 기초생활수급자 장례에 관해 안내조차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도 많은 문의가 오시는게 이미 장례를 진행중인 2일차나 혹은 다 끝난후에 혜택에 관해 물어오시는 경우가 다수 존재 합니다.
안타깝게도 여러가지 이유로 이럴경우는 도와드리고 싶어도 간단한 안내만 가능할 뿐 그 이상의 개입은 힘들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진행하시는 주체에 안내와 혜택 적용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미 늦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초동조치부터 이뤄져야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 약100~300만원까지의 절약이 가능합니다.
고인을 장례식장으로 옴기시는 것 부터가 장례비의 절감이 시작된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기초수급자 대상자를 위해 존재하는 비영리 나눔장례지원단이 있습니다.장제급여에 맞춰 실비진행으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드리며 협약 장례식장과의 연계로 약20%~100% 장례식장 시설 사용료의 감면과 불필요한 품목의 제거로 한번 더 비용의 절감을 줄여드리고 있습니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내실수 있게 도움을 드리며 현직 장례지도사의 원활한 전문지식의 노하우로 찾아가는 서비스로 도움을 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기초수급자 전문 장례지도사를 만나야 모든 혜택을 빠짐 없이 챙기실수 있습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 장제급여의 기준
장제급여의 기준은
의료급여수급자.주거급여 수급자. 생계급여수급자.등이며 교육급여는 해당이 되지 않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장례식을 다 지내시고 주민동센터 혹은 시. 구청등에 신청 하시면 되며 사망후 사망진단서. 장제비영수증. 신청인 통장사본. 신분증. 화장증명서. 장례확인서 등을 첨부하여 사망신고하실때 장제급여의 신청을 하실수 있습니다.
지자체마다의 상이함이 존재하며 2023년 기준 현재 80만원의 현물 또는 현금으로 지급이 되며 신청하신 통장으로 약10일의 기한을 거쳐 입금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장례를 실제로 행하고 주관한 자에게 지급 된다는 점입니다. 직계 상주가 아니더라도 실제 지불하고 한 영수증을 첨부하시면 되며 확인서등을 통해 증빙하시면 됩니다. 저희는 이러한 서류는 당연히 기본적으로 잘 챙겨 드립니다.
3. 기초생활수급자 화장비용의 면제
기초생활수급자의 관내외 지역의 여부와 상관없이 화장장이 없는 시의 거주자라도 화장비용이 면제 됩니다.
만약 거주지가 서울이시면 서울지역의 화장시설이 아니고 경기도권내서 화장을 이용하시더라도 비용의 면제가 됩니다.
다만 관내. 외 화장시간의 제약을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장시설이 부족할때 우회하여 진행하시면 장례기간을 줄일수 있고 그 결과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를 약 50만원에서 100만원 이상 줄일수가 있습니다.
또한,시간의 절약도 가능하시에 더욱 큰 혜택이 될 수 있습니다.
시설 사용료가 줄어들며 안치실료의 단축과 청소비용등의 감면으로 비용을 줄일수가 있게 되겠죠!

4.기초수급자 장례 혜택으로 지자체 직접운영 장례식장 즉,시립 장례식장의 경우 안치료의 감면 또는 시설사용료 약10%~20%감면등이 있습니다.
모든곳이 일괄 적용은 아니며 운영에따라 달라지거나 혜택이 없는 경우도 있으니 미리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5. 마지막으로 시립 장제시설(납골당.수목.잔디장 등)의 감면 또는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모든곳의 공통적이지 않으면 장제시설이 없는 경우 혜택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커뮤니티등을 보면 정확치 않은 정보가 많으며 본인들의 기준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적용이 불가한 곳이 많습니다.
이러한 모든 부분을 임종시 초동조치부터 장례식장 선정. 그리고 기초수급자에 맞춘 장례 계획과 장지의 안치까지 모든 과정들이 일관성있고 계획적으로 운용되야만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를 약 100만원에서 300만원 이상으로 줄일수 있게 됩니다.

기초수급자 장례는 일반적인 곳보다는 기초생활수급자를 전문으로 하는 곳을 통해 진행하는게 당연 합니다.
같은 장소와 조건으로 비용의 차이와 질의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으므로 현명한 선택이 필요한게 기초수급자 장례 입니다.
24시간 운영되는 콜센터를 통해 수도권 지역이라면 많은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기초생활수급자장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 지원 기초수급자 장례 신청(장제급여) (0) | 2023.04.22 |
---|---|
기초생활수급자 장례비 (0) | 2019.11.27 |